청년도약계좌, 중간에 해지하면 어떻게 될까요?
혹시 정부기여금 전액 환수? 이자는 받을 수 있을까?
또, 불규칙한 수입 때문에 일시적으로 납입을 멈추거나 줄이는 게 가능한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해지 조건부터 일시납입 제도까지 꼼꼼하게 정리했습니다.
1. 중도해지 시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?
청년도약계좌는 원칙적으로 5년 유지 시 최대 수익을 보장합니다.
하지만 불가피하게 해지할 경우, 아래와 같은 불이익이 따를 수 있습니다:
해지 시점 | 불이익 내용 |
3년 미만 | 정부기여금 전액 환수 + 일부 이자도 미지급 |
3년 이상~5년 미만 | 일부 기여금은 인정되나 비과세 혜택 축소 |
5년 만기 도달 전 해지 | 이자율 하락, 우대금리 미적용 가능성 ↑ |
📌 단, **해지 사유가 불가피한 경우(질병, 해외 체류 등)**엔 기여금 일부 인정 예외 적용 가능
2. 주의! 해지 후 재가입 불가
청년도약계좌는 1회 가입 상품입니다.
즉, 한 번 해지하면 다시 가입이 불가능하므로
가입 전 자금 계획과 5년 유지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.
3. 일시납입(스킵납입) 가능한가요?
예. 소득이 불안정하거나 상황에 따라 일시적 납입 중단이 가능합니다.
하지만 조건이 있습니다:
항목 | 내용 |
신청 방법 | 가입 은행에 사전 신청 필요 (앱/고객센터) |
기여금 지급 | 해당 월은 지급 제외 (납입된 달만 지급) |
일시중지 가능 기간 | 최대 6개월까지 가능 (연속 or 분할) |
“일시납입 설정 시 자동이체만 해제하면 안 됩니다. 반드시 은행 측에 스킵 신청을 따로 해야 합니다."
4. 예상 손실 계산 예시
해지시점 | 납입금입금 | 정부기여금 | 예상 총수익 | 해지후 수령액 |
1년 차 | 840만 원 | 약 50만 원 | 약 900만 원 | 840만 원 (기여금 환수) |
3년 차 | 2,520만 원 | 약 200만 원 | 약 2,800만 원 | 약 2,620만 원 (일부 인정) |
4년 차 | 3,360만 원 | 약 300만 원 | 약 3,700만 원 | 약 3,600만 원 (부분 인정) |
6. 자주 묻는 질문 (Q&A)
Q. 6개월 이상 납입 중단하면 자동 해지되나요?
A. 자동 해지는 아니지만, 기여금 지급 중단 + 계좌 비활성화 가능성 있음
Q. 해지 후 다른 청년 통장으로 전환할 수 있나요?
A. 대부분 불가. 청년도약계좌는 독립 상품으로 재신청 불가
Q. 군입대, 유학 등으로 납입 못 할 땐?
A. 은행에 ‘사유 증빙’ 제출하면 기여금 유지 가능한 예외 조치 가능
7.마무리
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유지해야 수익이 극대화되는 구조입니다.
중도해지 시 기여금 환수, 이자 미지급, 재가입 불가 등 여러 불이익이 따르니
신중하게 납입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같이 읽기 좋은 글
청년도약계좌 대학생도 가능할까? | 무직자, 알바생도 신청 조건 분석
청년도약계좌 이자 얼마나 받을까? | 만기 수익 계산기 포함
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최대 얼마? 소득구간별 혜택 총정리
청년도약계좌 조건 총정리 | 신청자격, 나이, 소득기준 한눈에 정리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완벽 가이드 | 은행·앱 어디서 신청할까?